본문 바로가기
생활 정보

<생활,건강> CPR 심폐소생술 꼭 알아놓자

by 호도니 2022. 10. 31.

심폐소생술 (CPR) 이란?

심폐의 기능이 정지하거나 호흡이 멎었을 때 사용하는 응급처치이다.

제대로 활동하지 못하는 심장의 기능에 대신 뇌에 산소를 공급하여 뇌사를 막는 것이 목적이다. 심장을 다시 뛰게 만드는 것은 자동심장충격기의 역할이고, 심폐소생술은 심장이 다시 뛸 때까지 시간을 벌어주는 역할이다. 제대로 실시 되었을 경우, 통상 정장 순환의 1/3 정도 효과가 있다고 한다. 미미한 효과인 듯 해보이지만 하고 안하고의 결과는 무척 다르다. 심폐소생술만으로는 부족한 경우도 있고, 성공했어도 신체에 무리가 상당히 가있을 확률이 높으므로 심폐소생술 하기 전에119에 먼저 신고후에 시행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일단 누군가에게 심폐소생술을 한번 시작했다면 구급요원에게 인계가 완료될 때까지 절대 멈추면 안 된다. 심폐소생술이 멈추는 순간 환자의 뇌는 급속도로 손상되기 때문이다.

 

성인의 심폐소생술 방법?

1. 주변에 위험한 물이 있는지 확인한다.

환자를 소생시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심폐소생술을 행하는 자의 안전이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2. 환자가 의식이 있는지 확인한다.

환자에게 다가가 “괜찮으세요?” 라고 큰소리로 물어본 뒤 손가락으로 계속 치는 것보단 손끝을 세워 쇄골이나 목 주변을 치는 것이 좋다.

혹시나 다른 곳을 잘못 쳐서2차 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

3. 주변에 있는 사람에게 환자의 상태를 알리고 119에 신고하라고 요청한다.

이때 주변인을 선택할 땐 단호한 목소리로 구체적인 인상착의를 말하며 확실하게 지목해야 한다

4. 맥박과 호흡을 확인한다.

일반인인 경우 맥박 확인 자체가 신뢰성이 없기 때문에 확인 없이 바로 가슴압박으로 넘어간다.

5. 평평하고 딱딱한 바닥에 환자를 반듯하게 눕혀 목을 뒤로 젖히고 (기도확보) 가슴압박을 실시한다.

환자의 상의는 벗겨야 한다. 상의를 벗기기 힘들 경우 가슴 압박 지점보다 위로 상의를 말아두어야 한다.

 

심폐소생술시 손의 위치, 손방법

* 한쪽 손등 위에 다른 쪽 손바닥을 얹어 깍지를 끼고 아래쪽 손가락을 위로 젖힌 상태에서 가슴뼈 (흉골) 의 아래쪽 절반 부위에 깍지를 낀 두 손의 손바닥 뒤꿈치를 댄다. 갈비뼈를 부러뜨릴 각오로 팔힘이 아닌 모든 체중을 실어 박력 있게 누른다. 그 후엔 압박한 손을 충분히 위로 들어 올려주되, 완전히 가슴에서 떼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행위를 분당 100~120회 속도로 30 눌러줘야 한다. 분당 100~120회 속도를 맞추는 팁은 오마이걸의 Dolphin 노래에서 물보라를 일으켜 ‘닷닷닷닷’ 이 박자를 이용하면 딱 맞다고 한다.

 

인공호흡이 빠지게 된 이유?

1.혈액순환의 중요성

인공호흡을 하느라 가슴압박을 멈추느니, 차라리 그 시간에 가슴압박을 하여 혈액을 공급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2. 시술자의 지구력 보존

의료진이 도착할 때까지 계속하고 있는다는 것이 체력적으로 많이 힘이 들기에 그 힘을 조금이라도 아끼는 것이 더 중요하다.

3. 가슴 압박으로 호흡 효과 대체 가능

4. 일반인이 하는 방법을 기억하기에 편하다.

인공호흡 단계가 빠지면서 더 단순해지고, 그럴수록 모두가 기억하기 쉬워진다.

5. 감염이나 중독으로부터 시술자 보호

6. 추가적인 질식 사고 등 예방

기관에 이물질이 있을 경우 호흡을 넣으면 더 상태가 악화될 수 있다.

7. 시술자의 심리적 부담 경감

생판 남에게 입을 맞추는 행위를 좋아하는 사람은 몇 없을 것이다. 부담스럽기도 하고 말이다.

 

영아/소아의 심폐소생술 방법?

영아,소아의 기준은 2차 성징을 기준으로 한다2차 성징의 징후가 나타나고 신장이 140cm 이상인 경우는 성인의 방법을 시행한다. 영아/소아 심폐소생술은 무조건 신고를 먼저 한 후에 상태를 확인해야 한다.

영아의 경우 두 손가락을 이용하여 가슴이 4~5cm 들어가게 눌러준다. 소아의 경우 한 손을 이용하여 가슴이 5~6cm 들어가게 눌러주며 다른 손으로는 이마를 눌러 기도를 유지해준다.

 

심폐소생술 종료 시점

1. 의료진 혹은 구조 구급대원이 인계를 받을 때 종료한다. 도착 시점이 아니다

2. 의사가 사망을 확인한 경우 멈춘다.

3. 시행자가 더 이상 심폐소생술을 하다가 쓰러질 것 같은 경우

4. 시행자에게 심각한 부상이나 주변 환경이 위험해졌을 경우

5. 자동제세동기를 이용하여 전기충격을 가할 때

6. 환자에게서 DNR 표식 (소생 행위를 하지 말라는 문서) 이 발견된 경우

7. 환자에게서 숨을 쉬는 모습, 움직이는 모습이 보이는 경우

 

문제점 ?

당장 사람을 살리기 위해선 갈비뼈, 늑골을 부러트릴 수도 있다. 정확히는 제대로 압박을 했을 시엔 연골이 부러지는 것이 당연하다. 그런데 나중에 골절에 대해 책임을 묻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또한 여성의 경우 기껏 살려줬더니 성추행으로 고소하겠다는 경우도 있다 한다.이런 점을 고려하여 선한 사마리아인 법이 존재하긴 하다 하지만 무죄를 받는다 한들 시행자 또한 힘들게 고생해서 구해줬더니 감사는커녕 재판을 받고 결과를 기다려야 한다는 것은 엄청난 스트레스다. 이러한 문제로 실제로 심폐소생술 하는 것에 꺼려하는 사람이 많다는 것이 현실이다.

 

 

제발 이런 생각 없는 행동을 안 했으면 좋겠다. 목숨보다 중요한 것이 무엇이 있을까?  시행자에게도 쉽지 않은 결정이었을 것이고 체력적인 소모도 굉장히 큰 행위다.  갈비뼈는 수술을 해도 되지만 심장이 멈추거나 뇌사는 다시 되돌릴 수 없다는 것을 기억하자

이번 이태원 할로윈 사고에서도 좀 더 심폐소생술을 할 줄 아는 사람이 더 있었다면, 또 위의 문제점에 대한 걱정이라도 없었다면 누구라도 나서서 한 명이라도 더 살릴 수 있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반응형

댓글